웹 접근성이란 ??
보편성 즉, 모든 사람 어떤 환경에서든 웹에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.
텍스트가 아닌 콘텐츠는 대체 텍스트를 제공해야 한다.
: 콘텐츠가 브라우저에 안나올 때 대체 텍스트로 표시도 되고, 스크린 리더가 대체 텍스트를 읽고 무슨 콘텐츠인지 알려준다.
<img alt="웹 접근성 대체 텍스트 이미지" />
콘텐츠는 명확하게 전달되어야 한다.
: 콘텐츠는 색상과 상관없이 인식할 수 있어야 한다.
: 웹 페이지에 보이는 핵심 텍스트 콘텐츠와 배경 간의 충분한 대비를 제공해야 한다.
: 화면 확대가 가능하도록 구현한 콘텐츠의 명도대비는 3:1을 만족해야 한다.
: 자동으로 소리가 재생되지 않아야 한다.
콘텐츠는 키보드로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.
: 키보드 초점을 받은 것들은 받지 않은 것들과 구분될 수 있어야 한다.
: 키보드에 의한 초점의 이동 순서는 좌측 상단에서 우측 하단으로 이동해야 한다.(일관성)
: 모든 기능은 키보드만으로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.
마이 페이지 메뉴에서 세부 메뉴(내 정보, 개인 정보 수정 등)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으로는 마이 페이지 메뉴에 마우스를 올렸을 때(hover) 보이게 하는게 보통인데, 이는 마우스를 이용했을 때 가능하고 키보드로 접근할 수 없다.
keyup 이벤트를 사용해서 키보드로 접근했을 때도 보일 수 있게 한다.
모든 콘텐츠는 컨트롤 할 수 있어야 한다.
표는 이해하기 쉽게 구성해야 한다.
: <caption>
과 <table summary="">
로 표에 대한 제목과, 요약을 제공해야 한다.
: <td>
와 <th>
로 내용과 제목을 구분해줘야 한다.
: 복잡한 표에는 직접적으로 셀의 범위를 지정해주는 scope와 제목 셀과 내용 셀을 연결해주는 id를 사용한다.
입력 서식에 대응하는 lable을 제공해야 한다.
: <lable for="">
와 <input id="">
의 for, id를 동일하게 제공한다.
입력 오류를 정정할 수 있는 방법을 창으로 제공한다.
다음에는 웹 표준성에 대해서 글을 작성하겠습니다. ^ ^ ~